본문 바로가기

황금채널? 의무광고? '종편 살리기' 특혜는 반칙 조선, 중앙, 동아 그리고 매경 등 종합편성채널 사업자가 결정되면서 이제는 이 사업자들이 생존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한정된 광고 시장에서 이 사업자들이 얼마나 버텨낼 수 있을까'라는 회의적인 시각과 '버텨내기 위해 수준 낮은 방송이 만들어 질 것'이라는 우려도 들립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종편에 선정된 일부 사업자들이 특혜를 달라는 요구를 노골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는 1일자 ‘사장규모 비해 사업자 너무 많아…"종편 안착 위한 대책 필요" 기사에서 시청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낮은 번호 이른바 '황금채널'을 요구했습니다. 또한 의약과 생수 광고를 종편사업자만 할 수 있게 하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비중있게 보여줬습니다. 낮은 채널 번호를 요구하는 한편, 의약·생수 광고는 종편사업자에게만.. 더보기
방송 진일보? '조중동매' 종편이 우려되는 이유 지난 금요일 오전서울 종로구 KT 건물에 위치한 방송통신위원회 기자실. 평소 한산하던 기자실은 발을 디딜 틈도 없이 꽉 찼습니다. 바로 종편-보도채널 사업자 선정 발표가 예정됐기 때문이죠. 특히 이 사업자는 기자들이 당사자들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미묘한 긴장감마저 흘렀습니다. 최시중 방통위 위원장이 기자실로 들어와 발표한 내용은 예상을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보수신문인 조선, 중앙, 동아일보와 경제지인 매일경제신문이 케이블 종합편성채널 사업자로 선정됐고, 신규 케이블 보도전문채널 사업자에는 연합뉴스가 단독으로 선정됐습니다. 방통위원회가 밝힌 심사위원회 평가 점수를 살펴보면 총점 1000점 만점에 중앙일보 jTBC 가 가장 높은 점수인 850.79점을 받았고 이어 조.. 더보기
동국대 할머니 노동자가 삭발한 이유 가족과 함께 따뜻하게 보내야 할 연말연시. 지나간 한 해를 정리하고 돌아오는 새해를 맞이하는 때이기도 하죠. 우리는 흔히 '희망찬 새해'라는 수식어를 붙여 새해에 대한 희망을 이야기 합니다. 하지만, 따뜻하게 희망찬 새해를 맞이하지 못하고 추운 거리에 나와 삭발을 해야 하는 할머니가 있었습니다. 이 할머니의 소망은 소박했습니다. 단지 '일을 하고 싶다'는 것이었으니까요. 누구나 원하는 것이고, 누구에게나 보장된 것, 차별 없는 일터에서 일을 하고 싶다는 게 이 할머니의 바람이었습니다. 그러나 상황은 할머니의 소망을 짓밟고 거리로 내몰았습니다. 그리고 머리카락를 깎아야 했습니다. 이 얘기는 2010년 마지막 날이었던 어제 동국대학교에서 일어난 일입니다. 동국대 중앙도서관에서 일하는 김다임 할머니가 삭발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