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이야기

군화 녹인 고엽제도 버렸다니, 주한미군 불법매립 철저히 파헤쳐야

1960, 70년대 주한미군의 화학물질 매립에 대한 증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 주한미군 스티브 하우스씨가 주한 미군기지 캠프캐럴에 고엽제가 담긴 드럼통을 파묻었다고 폭로한 이후 70년대 말 우리나라에서 근무했던 한 미군은 '창고에 저장된 다이옥식 제초제 제거 명령을 받았다'고 주한미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밝혔습니다.

1960년대 주한미군으로 근무했던 사람은 당시 부대에 화학물질보관소가 있었고 땅을 중장비로 파내고 수백갤런이나 되는 화학물질을 매립했다고 털어놓기도 했습니다.

시민단체들의 주한미군 화학물질 매립 규탄 퍼포먼스. 출처 : 오마이뉴스



또한 주한미군이이었던 한 남성은 비무장지대에 뿌리다 남은 고엽제를 근처 강과 도로에 버렸다고 증언했습니다. 특히 이 남성은 고엽제가 군화를 녹일 정도로 독한 물질이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남성은 비무장지대 고엽제 살포를 하지도 않고 운반하기만 했는데도 지금까지 후유증으로 고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살포를 담당한 한국군은 더 큰 후유증을 겪고 있습니다.

이쯤되면 우리 강산 곳곳에 미군이 버린 폐기물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증언이 나온 모든 곳에 대한 철저한 환경조사가 필요합니다. 어떤 물질이 묻혔고, 어떤 환경피가 발생했는지 파헤쳐야 합니다. 관련 작업을 담당했던 당시 군인들과 매몰지 주민들에 대한 검사도 철저하게 실시해야 할 것입니다.

다행스럽게도 미군과 우리 정부가 이번주부터 캠프캐럴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부가 첫 공동조사 전에 내놓은 환경 조사 자료를 보면 뭔가 이상합니다.

환경부 국립과학원은 캠프캐럴이 있는 왜관 지역 토양, 하천 환경 모니터링 결과를 인용하면서 '토양, 하천 다이옥신 농도가 해외 환경 기준치보다 현저하게 낮다, 현재 주변 환경오염을 우려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고 발표했습니다. 

김이 빠집니다. 첫 공동조사를 앞두고 별 문제가 없다는 식의 발표를 왜 하는 것인지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게다가 이 조사는 캠프캐럴에서 1.8km 정도 떨어진 낙동강변 하천 둔치였다고 합니다.

캠프캐럴 기지 앞에서 촛불문화제를 연 시민단체. 출처 : 오마이뉴스


환경부 관계자의 코멘트를 보면 '왜관 전체가 다이옥신에 오염된 것처럼 비치면서 주민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 기존 조사 내용을 발표한 것'이라고 돼 있더군요. 정부가 문제가 없다고 발표하는 것 자체가 주민들의 불안감을 더 증폭시켰을 겁니다. 그것도 한-미 합동조사단의 첫 조사를 앞두고 정부가 이런 식의 발표를 하는 것은 '조사 지침'으로 보이기까지 합니다.

원점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합동조사단에게는 철저한 조사로 진실을 밝혀내야 할 임무가 있습니다. 정부도 과거 주한미군의 잘못된 행동을 따져 묻고 보상을 받아야 합니다 조사 시작도 전에 '문제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불필요한 행동입니다.

아울러 캠프캐럴 뿐만 아니라 미군이 증언한 지역도 빠른 시일 내에 조사해야 합니다. 미군기지 부지만 돌려받는다고 끝나는 게 아닙니다. 그 부지 안에 어떤 화학물질이 버려졌는지, 토양 오염 정도는 어떤지 파헤쳐야 합니다. 국민들의 건강과 후손들의 행복을 위해 정부가 꼭 해야 할 일입니다.

p.s 제 글이 유익했다면 아래 손가락 모양의 추천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