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이야기

황금채널? 의무광고? '종편 살리기' 특혜는 반칙

조선, 중앙, 동아 그리고 매경 등 종합편성채널 사업자가 결정되면서 이제는 이 사업자들이 생존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한정된 광고 시장에서 이 사업자들이 얼마나 버텨낼 수 있을까'라는 회의적인 시각과 '버텨내기 위해 수준 낮은 방송이 만들어 질 것'이라는 우려도 들립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종편에 선정된 일부 사업자들이 특혜를 달라는 요구를 노골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조선일보>는 1일자 ‘사장규모 비해 사업자 너무 많아…"종편 안착 위한 대책 필요" 기사에서 시청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낮은 번호 이른바 '황금채널'을 요구했습니다. 또한 의약과 생수 광고를 종편사업자만 할 수 있게 하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비중있게 보여줬습니다. 낮은 채널 번호를 요구하는 한편, 의약·생수 광고는 종편사업자에게만 허용하라는 전문가들의 말을 비중있게 전했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12월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방송통신위원회 기자실에서 종합편성 및 보도전문 방송채널사용사업 승인 대상법인 선정에 관한 심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촬영 : 오마이뉴스 유성호

<동아일보>도 1일자 사설 '미디어 빅뱅, 방송문화 선진화 계기로'에서 KBS 2TV 광고 폐지, 문화방송 정체성 정립을 요구하며 두 방송사에 들어오는 광고가 종편 쪽으로 흘러야 한다는 뉘앙스를 풍겼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요구에 정부가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지난 10월 최시중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김부겸 민주당 의원의 '종편에 대한 채널 특혜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답변을 할 수 있냐'는 물음에  '(지상파 인접 채널 부여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방통위가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인 SO의 채널 편성을 간섭할 권한이 없는 상황인데도 최 위원장은 '행정지도'를 통해 이를 밀어부치겠다는 겁니다. 그 이유로 최 위원장은 '시청자의 편익을 위해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당연히 지상파 사이 채널을 받게 되면 시청률이 잘 나오겠죠. 그래서 그 사이 채널이 '황금채널'이라고 불리는 겁니다. 공개적으로 '황금채널'을 종편에 배정하겠다는 것은 종편을 키우기 위한 방통위의 속 보이는 특혜입니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지난해 10월 11일 국회 문방위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촬영 : 오마이뉴스 남소연

종편을 추진하고 있는 신문사 등은 기뻐할 일이지만, 기존 PP(프로그램 공급자, Program Provider)들은 너무나 억울한 일입니다. 그동안 케이블 방송이 시작할 때부터 사업을 해온 사업자들이 종편에 밀려 변방 채널로 밀려나게 되기 때문입니다.

황금채널과 의무광고. 정말 황당한 일입니다. 경쟁을 통해 종편 사업자로 선정했더니 이제는 먹여 살려달라고 떼를 쓰다니. 만약 시장 상황을 볼 때 사업성이 밝지 않다면 신청을 하지 않았으면 될 일이죠. 사업자에 선정됐다고 먹여 살리라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입니다.

종편 관련 조선일보 기사(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1/01/2011010100069.html) 캡쳐화면.


종편이 좋은 방송을 한다면 시청자들의 관심이 높아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자연히 광고는 들어옵니다. 종편의 살 길은 종편이 알아서 찾아야 한다는 겁니다. 인위적인 정부의 지원이나 정책을 바라는 것은 다른 채널과 형평성에도 어긋나고 공정성도 어기는 일입니다.

가뜩이나 '조중동'은 현 정권에 우호적이라는 이유로 많은 비판을 받아 왔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종편에 특혜를 준다면 이건 누가 봐도 권언유착입니다. 반칙입니다.

정부는 종편 채널의 공정한 경쟁을 유도해야 합니다. 기존 방송과 케이블 방송과의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게 정부의 할 일입니다. 인위적으로 종편을 먹여 살리는 일은 절대 안 됩니다.

양을쫓는모험(박정호) 트위터 주소 -> http://twitter.com/junghopark
p.s 제 글이 유익했다면 아래 손가락 모양의 추천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