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이야기

대학생 울리는 기숙사, 원룸보다 비싸다니

대학들이 이제 장사에 매진하기로 작정했나 봅니다. 그동안 비판 받아온 등록금 인상과 전형료를 통한 장사에 이에 이번에는 기숙사 장사에 나섰습니다.

권영진 한나라당 의원이 한국사학진흥재단의 에듀21 사업을 살펴본 결과 이 사업을 통해 건축된 기숙사비가 기존 기숙사비보다 평균 2배 이상이나 올랐다고 합니다.

말이 평균 2배이지 무려 3.5배나 올린 대학도 있습니다. 고려대는 학기당 222만원, 국립 부산대는 198만원짜리 기숙사까지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 대학은 2인실도 107만원, 4인실도 86만원이라고 하네요. 기존 기숙사 3인실 기준 40만원에 비하면 2~3배나 올랐습니다. 대학 주변 원룸보다도 비싼 수준입니다. 

왜 이렇게 기숙사비가 올랐을까. 대학들이 기숙사를 지을 때 민간자본을 끌어들였기 때문입니다.

지난 2008년 완공된 서강대 민자 기숙사 곤자가 국제학사 전경. 2009년 당시 서강대 민자 기숙사 비용은 한 학기 6개월간 272만원(2인실 기준·식비포함, 보증금 10만원 포함)에 이르렀다. 출처 : 오마이뉴스


민자로 기숙사를 짓는 대신 사업을 맡게 되는 민간 사업자가 불과 20년 안에 원금을 포함한 이자, 이윤을 얻어내려고 하니 기숙사비가 대폭 오를 수밖에 없는 겁니다. 대학이 기숙사를 짓는다는 생색은 내면서 업자에게 대학생들과 학부모들을 상대로 장사를 시키겠다는 셈이죠. '에듀 21' 사업 자체가 사립학교에 대한 민간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계획된 거라고 하지만, 이건 아닙니다.

더욱 더 놀라운 것은 대학들이 전적으로 민간 투자에 의지할 정도로 가난하지 않다는 것. 1인실에 222만원을 받는다는 고려대는 830여 억원의 건축적립금을 쌓아놓고 있고 숭실대도 347억원이나 갖고 있습니다.

지난 2006년, 대학 최초로 민자 유치를 통해 건립된 건국대 '쿨하우스' 전경. 출처 : 오마이뉴스


고려대는 기숙사를 짓는 데에 261억원이 들었고, 숭실대는 335억원이 들었다는 것을 볼 때 건축적립금 만으로 이 두 대학은 충분히 기숙사를 지을 수 있었습니다. 물론 전액을 다 기숙사를 짓는 곳에 쓸 수는 없겠지만, 학생들의 부담이 최소화하는 방안은 마련했어야 했습니다.

지금 현재 민간 자본으로 기숙사를 지었거나 계속 짓고 있는 사립대는 7곳이고 앞으로 더 많은 대학들이 민자로 기숙사를 지을 거라고 합니다.

백번 양보해서 대학이 기숙사를 운영해 생기는 이익금을 학생들을 위해 쓸 수도 있겠죠. 하지만, 지금까지 드러난 것을 보면 업자들의 배만 불려주는 상황만 생길 것 같습니다. 또한 등록금, 전형료 문제에서 보여준 대학들의 모습을 볼 때 대학들이 나서서 학생들을 챙겨줄 것 같지 않네요. 설령 그렇게 된다고 해도 폭등한 기숙사비를 내고 학교를 다닌 학생들이 혜택을 볼 지도 미지수입니다.

올해 초 등록금 인하 기자회견을 열고 있는 대학생들. 출처 : 오마이뉴스



대학은 아직까지 착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편의시설을 늘리고 이익을 창출하는 게 대학의 책무라고요. 그렇지 않죠. 대학은 기업이 아닙니다. 우리는 대학을 '상아탑'으로 불러왔습니다. 대학은 연구를 하고 교육을 하는 곳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기숙사비 문제는 물론 등록금이나 전형료 문제까지 잘 풀릴 거라고 생각합니다.

'기숙사'를 사전에서 찾아보니 이렇게 써 있더군요.

'학교나 회사 따위에 딸려 있어 학생이나 사원에게 싼값으로 숙식을 제공하는 시설.'

하지만, 이제 일부 대학 때문에 '싼값'이라는 단어는 사전에서 빼버려야 할 것 같습니다. 원룸보다 비싼, 학생들과 학부모에게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민자 기숙사는 문제가 있습니다. 학생과 학부모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아울러 민자 기숙사의 부작용을 막을 수 있는 장치도 마련돼야 합니다. 기숙사는 기숙사다울 때 기숙사입니다.

p.s 제 글이 유익했다면 아래 손가락 모양의 추천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