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이야기

직접 본 4대강 사업 낙동강 들판의 '모래성''

그저께부터 낙동강 주변에 머물고 있습니다. 낙동강은 4대강 사업에서 제일 큰 공사구간이죠. 자연이 오랜 시간에 걸쳐 만들어 왔던 700리 물길이 공사로 인해 다 바뀌게 되는 겁니다.

첫날 골재노조원들의 뗏목을 타고 예천 삼강나루터에서 경천대까지 돌아본 낙동강 본류 중간 중간 준설작업이 진행돼 이미 옛모습이 많이 사라진 모습이었습니다. 이대로 강폭을 넓히고 강바닥을 파내는 준설이 계속된다면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한 경천대를 앞으로 옛사진으로만 감상하게 될 것 같았습니다. 1박2일에 소개됐던 회룡포 마을 주변 경관도 바뀌겠죠. 뗏목으로 부러오는 강바람이 어찌나 시리던지. 가슴이 아팠습니다.

어제는 낙동강이 흐르는 경북 상주에서부터 구미보까지 둘러봤습니다. 오후에 본 경북 구미시 고아읍 일대는 충격 그 자체였습니다. 너른 들판 곳곳에 모래가 쌓여 무덤처럼 땅 위로 솟아 있었습니다. 그 사이 사이에는 건설장비가 서있었습니다. 지난해 가을 황금빛으로 물들었던 논은 1년만에 황량한 모래 무덤이 돼버렸습니다.

경북 구미시 고아읍 일대의 모습.

이처럼 4대강 사업 낙동강 주요 공사구간 주변 논밭은 농작물 대신 하천에서 퍼올린 모래가 차지했습니다. 낙동강의 준설양이 너무 많아서 쌓아둘 공간이 없자 시공사들이 농민들에게 보상금을 주고 2년 동안 농지를 빌린 겁니다. 시공사는 2년 뒤 농지를 돌려줄 때 팔고 남은 준설토로 농지 규격화 작업을 해주기로 농민들에게 약속했습니다. 

많은 농민들이 농사를 짓지 않고 수익을 얻을 수 있다며 농지임대에 찬성했지만, 일부 농민들은 2년 동안이나 모래로 채워졌던 논밭에서 제대로 농사를 지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깊은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경북 구미시 옥성면 주변 농지에 쌓여 있는 준설토.

구미보 앞에서 만난 한 농민은 "지금 낙동강 주변 땅이 거의 옥토 아닙니까. 보시다시피 다 모래로 채우고 위에 복토를 1m 정도는 해줘야 농사를 짓는데 (시공사에서) 얼마나 해줄지 의문스럽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이번 조치가 소작농이나 상대적으로 수가 적은 축산농가에 불리하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땅을 빌려 농사를 짓던 소작농들은 보상금은 제쳐두고라도 당장 농사 지을 땅이 없어지는 겁니다.

낙동강변에서 열심히 작업을 하고 있는 건설장비.

이 농민은  "남의 땅 임대해서 농사 짓던 사람은 쪽박 차는 거"라면서 "주인이 보상금도 반 이상 가져가려고 한다, 임대차 계약도 주인이 언제든지 파기하면 되는 거다.

"파기하고 주인이 보상금을 받아가려고 해요. 그러면 정부에서 '짓던 사람이 우선이다, 아니면 지주가 우선이다'라고 명확하게 끊어줘야 하는데 당사자들끼리 합의를 봐서 들어오라고 합니다. 법적 근거도 없이요."

다른 농민은 축산농가 보상과 관련해, "지상물 보상하고 소 이전비, 마리당 얼마씩 (줄 테니까) 다른 데로 이전해라. 소는 어떻게 하냐. 팔지도 못하고 시세가 떨어졌다."면서 "어디가서 축사를 지으려고 하면 터가 있어야 하는데 어떻게 하냐고 물어봤는데 '그건 자기들이 알 바 아니다, 무조건 나가라'라고 했다"고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경북 상주시 중동면 하천 주변 모습.

이에 앞서 찾은 구미시 옥성면과 상주시 중동면 하천 주변 농지에도 이미 많은 양의 준설토가 쌓여 있었습니다. 파헤쳐진 강변에서도 모래가 덮어버린 논밭에서도 옛 모습은 떠올릴 수 없었습니다.

일부 농민들은 인위적인 준설은 생태계 파괴 뿐만 아니라 주변 기후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거라고 지적했습니다. 유기농 농사를 짓고 있는 한 농민은 "강 깊이가 7m, 10m가 되면 틀림없이 가을에는 안개가 많이 낄 것"이라면서 "벼농사에도 지장이 있다, 양은 많이 나오는데 무게가 덜 나간다거나 고추에 탄저가 많이 낀다거나 감이 잘 안 익는다던지"라고 말했습니다.

'모래 무덤'처럼 보이는 낙동강 주변 농지 준설토 적치 현장.

낙동강 준설은 단기적으로는 농민들에게 이익을 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농작물 등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겁니다. 눈 앞의 이익을 위해 자연 환경을 파괴하는 4대강 사업의 본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저희와 동행했던 지율스님도 "이익의 문제는 가장 나중에 다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거대한 구미보의 모습.

"공익과 가치가 우선입니다. 하지만, 4대강 사업은 이익이냐 아니냐만 얘기합니다. 그런 접근 방법 자체가 재앙입니다."

어제 농지 위해 생긴 거대한 '모래 무덤'과 구미보를 보면서, 농민들의 하소연을 들으면서 충격을 받았습니다. 언론을 통해서 접할 때는 느낄 수 없었던 자연과 농민의 아픔이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었습니다.온 몸으로 느껴졌습니다.

'이익의 문제는 가장 나중에 다뤄져야 한다'는 지율스님의 말씀이 계속 귓가에 맴도네요.

p.s 제 글이 유익했다면 아래 손가락 모양의 추천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