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이야기

정혜신 박사가 밝힌 학교 체벌의 무서움

어제 학생인권조례제정운동서울본부가 마련한 학생인권 시민연속특강에서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 박사가 '폭력 트라우마와 체벌 없는 교육'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습니다.

100석 정도 되는 서울 성동교육청 강당을 가득 메운 학부모들과 시민들은 2시간 가까이 진행된 정 박사의 강연과 질의응답을 경청했습니다. 아이들의 학교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강연이라 청중들의 집중도가 정말 놀라울 정도로 좋더군요.

논란이 되고 있는 체벌과 관련된 내용이기도 하고 정 박사의 강연 내용을 공유하면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블로그를 통해 어제 특강 내용을 전해드릴까 합니다. 오늘은 우선 정 박사의 강연 내용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22일 학생인권조례제정운동서울본부가 마련한 학생인권 시민연속특강에서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 박사가 '폭력 트라우마와 체벌 없는 교육'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습니다.

정 박사는 체벌 및 폭력이 우리 사람에게 얼마나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지 정신적인 면에서 설명했습니다. 정 박사는 한 교통사고의 예를 들어 사고 가해자와 피해자의 차이점을 적나라게 드러냈습니다.

"몇해 전 뉴스에서 어떤 신혼부부가 차를 몰고 가는데 앞에 달리던 화물 트럭에서 뭐가 튀어 나와서 운전하던 신랑이 즉사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뒤에 따라 가던 사람은 즉사를 할 정도로 치명적인 사고를 당했는데 사실 그 트럭 운전사는데 자기 뒤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도 몰랐죠. 나중에 우연히 이런 일이 있어서 이 사람의 삶이 망가졌다고 그러면 '난 그런 의사가 없었다, 난 그냥 갔다'고 그럴 것 같습니다."

이 상황이 바로 체벌에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겁니다. 정 박사는 "학교 폭력이나 체벌도 이것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많이 느낀다"면서 "가해자와 받아들였던 사람 사이의 온도차이가 급격이 나기 때문에 '아이한테 그렇게까지 할 의도가 없었다'고 할 수 있지만, 아이의 내면을 들여다 보면 급격한 온도차이를 느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정 박사의 강연을 경청하는 참석자들.

'그냥 아이를 위한 체벌인데, 교육을 위해서인데'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아이들에게 폭력을 쓴다는 것은 너무나 이기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사고라는 거죠.

정 박사는 또 다른 사례를 하나 들었습니다. 대기업에 다니는 40대 남자의 상담 사례였는데 이 남자는 어릴적 아버지로부터 당한 구타 때문에 아직도 결혼을 하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자신도 아버지처럼 자식을 때릴까봐 두렵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하지만 정 박사는 폭력 DNA가 사람에게 있는 것은 아니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이 남성은 '내가 언제든 아버지와 같은 끔찍한 일을 저지를 수 있다, 난 어쩔 수 없다'는 생각에 지금까지 결혼을 안 했습니다. 정신의학에서는 이걸 '트라우마'라고 합니다. 한 인간이 어린 시절에 겪었던 기억, 경험이 성인이 된 다음에도 생생하게 파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트라우마'라고 하죠. 사람한테 폭력이 무엇인대 이 사람의 삶을 지배하느냐, 그게 무서운 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 박사는 폭력이 한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너무나 크다고 밝혔습니다. 폭력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어느 순간에 폭력에 대한 공포라는 것을 문제 해결의 도구로 선택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폭력이 주는 파괴력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에 그렇다는 겁니다.

어제 학생인권조례제정운동서울본부가 마련한 학생인권 시민연속특강에서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 박사가 '폭력 트라우마와 체벌 없는 교육'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습니다.

정 박사는 5공화국 당시 고문을 당했던 상담자의 사례를 소개하며 "폭력 그 자체보다 치유하기 어려운 게 '내가 굴복했다는 느낌"이라고 힘주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고문자가 행하는 고문이나 학교에서 행하는 체벌이나 부모가 행하는 체벌이나 다 같다, 굴종과 복종을 강요하는 것은 다 같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래서 폭력이 무섭습니다. 물리적으로 망가지는 게 아니라 내 자유의지가 완전히 마비되는 상황에서 전적으로 굴복했다는 경험이 사람을 결정적으로 무너뜨립니다."

이어 정 박사는 "어떤 수사를 붙여도 폭력이라는 것은 인간한테 결정적인 손상을 미친다"며  "폭력은 폭력이다, 교육적 폭력이란 말은 있을 수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부모가 사랑의 매를 때린다는 것은  있을 수 없습니다. 사랑하는 마음으로 시작했더라도 폭력으로 전달되는 한 받아들이는 사람은 망가집니다."

어제 학생인권조례제정운동서울본부가 마련한 학생인권 시민연속특강에서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 박사가 '폭력 트라우마와 체벌 없는 교육'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습니다.

정 박사는 "아이를 키울 때 애들은 약하고 방어력이 없으니까 가능하면 신선한 것으로 먹이면서 아이들의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해지는 폭력은 왜 어른보다 더 받아들여도 괜찮다고 얘기하는지 모르겠다"면서 "우리가 직장생활하면서 상사가 때린다 그러면 견디지 않지 않냐"고 반문했습니다.

학생들에게도 인권은 있습니다. 맞지 않아야 할 인간의 권리 말입니다. 어제 정 박사의 강연을 들으면서 어떤 이유로도 체벌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했습니다. 일선 선생님들은 아이들 통제가 어려워진다는 고충을 토로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아이들이 망가질 것을 뻔히 아는데도 체벌을 가할 수는 없습니다. 체벌은 아이들에게 폭력의 공포를 심어줄 뿐입니다.

정 박사의 강연을 경청하고 있는 참석자들.

어제 고문을 당한 사람들의 상담 사례를 소개하다 감정이 북받쳐 눈물을 글썽거리기도 했던 정 박사는 "학교 체벌을 인정하는 틀 자체를 놔두고 이 안에서 '직접이냐 간접이냐'를 따지는 것은 인간이 감옥에서 사는 것과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일갈했습니다. 갈 길이 멀고 험하다고 해서 아이들을 낭떠러지로 무턱대고 밀어 넣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p.s 제 글이 유익했다면 아래 손가락 모양의 추천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고맙습니다.